회원 로그인
회원 가입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회원가입으로 서비스 약관개인정보 보호 정책에 동의합니다.



지역퍼스트 신문보기
구정 | 구의회 | 주민자치 | 정치
구의회    |  구정  | 구의회
강금희 의원 5분 자유 발언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보내기 밴드로 보내기
작성자 김형수 작성일 23-10-23 00:00 댓글 0

퍼스트신문  / 구의회

강금희 의원 5분 자유 발언

 

존경하는 노원구민 여러분 김준성 의장님을 비롯한 동료 의원 여러분 그리고 오승록 구청장님과 관계 공무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하계1, 중계본동, 중계1, 중계4동을 지역구로 둔 강금희 의원입니다.

 

코로나19 이후 잦은 배달과 일회용품 사용 증가로 생활폐기물이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지난 427일 환경부가 발표한 6차 전국폐기물통계조사에 따르면 5년 전에 발표한 5차 전국폐기물통계조사에 비해 종량제봉투 혼합배출량이 29.5% 증가하였습니다.

 

계속되는 쓰레기 증가로 환경오염 문제가 점점 대두되어 있어, 불필요한 소비와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운동이 각광 받고 있습니다. 제로 웨이스트는 모든 제품이 재사용될 수 있도록 장려하고 폐기물이 생겨나지 않게 하는 것으로, 쓰레기가 생기지 않도록 재사용, 재활용하고 불필요한 낭비를 줄이는 지속 가능한 실천 방안입니다.

[P1]

종이팩은 종이가 아니다라는 말을 들어보셨지요? 종이류와 종이팩을 헷갈리기 쉬운데 종이류는 분리수거 가능한 신문지 등을 말하고 종이팩은 위생적으로 안전이 필요한 우유, 두유 등을 포장용도로 사용되는 용기를 말합니다.

종이팩은 살균제품 포장용도로, 냉장보관이 필요한 우유, 주스 등에 사용하는 일반팩과 멸균제품 포장용도로, 상온보관이 가능한 두유, 소주 등에 사용하는 멸균팩이 있습니다. 향후 일반팩은 내부에 흰색종이(폴리에틸렌(PE))로 마감되어 있어 두루마리 휴지로, 멸균팩은 내부에 회색호일(알루미늄)으로 마감되어 있어 핸드타월로 재활용됩니다.

 

종이팩을 100% 재활용하면 1년에 20년생 나무 130만 그루를 심는 효과가 나고 원료 절감 효과도 320억원에 달하지만 지난 2021년 기준 종이팩 재활용률은 겨우 14%입니다. 재활용을 잘 하려면 잘 버려야 합니다. 종이를 재활용하려면 종이를 물에 풀어 녹이는 해리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일반팩은 내부에 폴리에틸렌(PE) 코팅이 되어 있고, 멸균팩은 알루미늄 호일까지 더 코팅이 되어 있어 분해에 더 오랜 시간이 걸려 종이류와 섞이면 재활용이 잘 안 됩니다. 또한 일반팩과 멸균팩도 내부 코딩 재질이 달라 따로 분리 배출해야 합니다.

 

코로나19로 비대면 소비가 늘면서 상온보관이 가능한 멸균팩이 크게 늘어나 일반팩 중심으로 운영된 종이팩 재활용률이 201335%에서 202015.8%19.2% 떨어졌기도 했습니다. 종이팩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다 쓴 종이팩은 물로 깨끗하게 씻은 뒤 잘라서 펼쳐주고 잘 말려서 종이팩 수거함에 따로 버려야 합니다.

 

문제는 종이팩 분리 배출이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대부분 아파트나 공동주택에서 분리수거를 할 때 종이팩을 따로 분리 수거하지 않습니다. 우리구는 19개 동주민센터와 리사이클링 마켓에서 주민들이 종이팩을 따로 모아 가져오면 두루마리 휴지로 교환해 주고 있습니다. 성동구에서는 IoT(사물인터넷) 스마트 종이팩 분리배출함을 17개 동주민센터와 다중이용시설 5군데에 설치하여 24시간 내내 주민들이 분리수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포인트를 적립 받고 있습니다. 이렇듯 종이팩은 따로 모아뒀다가 동주민센터나 분리배출함을 직접 방문해야 하고 종이류, 플라스틱, 캔처럼 집 앞에서 쉽게 내놓을 수도 없는 실정입니다. 현재 종이팩 수거함 의무 설치 등 분리 배출 체계는 없습니다.

 

페트병보다 탄소 배출량이 3분의 1 정도 적어 플라스틱 대체재로서 종이팩 사용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시민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참여하기 위해 서울시의회에서 서울시 종이팩 자원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토론회를 지난주에 개최하였습니다.

 

우리구에서도 종이팩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종이팩을 일반팩과 멸균팩으로 따로 분리 배출해야 하고 현재 19개 동주민센터와 리사이클링마켓에서 운영 중인 종이팩 수거보상제를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합니다. 또한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19개 동주민센터 및 다중이용시설에 ‘IoT(사물인터넷) 스마트 종이팩 분리배출함을 설치하는 등 선도적으로 노력하는 자치구가 될 수 있도록 당부드리며 이상으로 5분 자유발언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끝까지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신 기사 인기 기사 섹션별 인기기사
구정의 최신글
  노원구만의 신속 제설을 위한 ‘노노시스템’ 구…
  서울 노원구 2024년도 예산 1조 3268억…
  2024년도 예산안 제출에 따른 오승록 노원구…
  조윤도 의원5분자유발언
  최나영 의원 5분자유발언
  차미중의원 5분자유발언
  오금란 의원5분자유발언
  손영준의원 5분자유발언
  노연수 의원 5분자유발언
  노원구의회, ‘수락산 연구소’연구용역 최종보고…
퍼스트신문 회사소개    |    회원가입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기사제보    |    광고안내/신청
  • 퍼스트신문 | 발행인 : 김양호 | 지사장 : 김형수 | 편집인 : 김영렬 | TEL : 070-8716-6885 , 사업자등록번호 : 132-86-01106 ||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덕릉로725 TEL : 02-808-3927 | 010-5791-3927 이메일 morasoo3927@gmail.com,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먹갓로서길29 104호 (070-8716-6885) 신문사업등록번호 : 경기다50146
    Copyright© 2015~2023 퍼스트신문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