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로그인
회원 가입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회원가입으로 서비스 약관개인정보 보호 정책에 동의합니다.



지역퍼스트 신문보기
노원뉴스 | 문화/스포츠뉴스 | 치안/안보/소방 | 사회복지/교육/나눔/단체 | 지역단체장
교육/사회복지    |  퍼스트뉴스  | 교육/사회복지
서울시 모아타운·상생주택 대상지 접수, 수시신청으로 바뀐다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보내기 밴드로 보내기
작성자 김형수 작성일 23-02-28 00:00 댓글 0

퍼스트신문  / 교육/사회복지

서울시 모아타운·상생주택 대상지 접수, 수시신청으로 바뀐다

 

 

노후 저층주거지 정비모델 '모아타운·모아주택'과 민간토지 활용 장기전세주택 '상생주택'의 대상지 모집이 수시신청으로 바뀐다. 공모를 진행해 대상지를 선정했던 방식에서 기준을 충족하면 언제든 수시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사업을 활성화하여 주거환경을 정비하고 안정적인 주택공급을 마련한다는 계획 '모아타운 대상지' 수시신청2025년까지 35개소 추가 선정

 

서울시가 저층주거지 정비모델인 '모아타운·모아주택' 사업 활성화를 위해 앞으로 사업대상지를 수시로 신청 받는다. 시는 오는 2026년까지 모아타운 총 100개소 지정을 목표로 대상지 선정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모아타운'10미만, 노후도 50% 이상인 지역을 선정해 모아주택(소규모주택정비사업)을 활성화하고, 지역 내 부족한 기반시설을 확보하는 지역 단위 계획으로, 대상지로 지정되면 모아주택 추진 시 용도지역 상향 등 용적률 및 각종 규제 완화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2026년까지 모아타운 총 100개소 지정을 목표로 대상지 선정을 확대한다.

서울시는 2026년까지 모아타운 100개소 지정을 목표로 대상지를 확대한다. 강북구 번동 내 모아타운 대상지.

모아타운 공모는 자치구가 주민 의견을 수렴하여 서울시로 공모신청서를 제출, 시는 신청서를 사전 검토하여 사업추진이 적정하다고 판단되면 도시계획건축교통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 심사를 통해 대상지를 최종 선정한다.

 

재개발이 어려운 노후 저층주거지 중 전체 면적 3~10미만(조합·사업예정지 3개소 및 3이상 포함), 노후도 50% 이상 (사업 예정지별 57% 이상) 요건을 갖춘 지역은 '모아타운'에 공모할 수 있다.

 

다만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노후 저층주거지를 대상으로 정비하는 모아타운 사업의 특성상 재개발이 추진되고 있거나 추진 예정인 지역 등은 제외된다.

 

시는 재개발 등 대규모 정비사업과 모아타운이 중복으로 추진돼 일어나는 주민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속통합기획 민간재개발 공공재개발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 등 타 사업방식으로 공모 신청 중이거나 사업이 진행 중인 지역과 정비 또는 정비예정구역(, 주거환경개선사업 신청 가능) 재정비촉진지구(, 존치지역 신청 가능) 도시개발구역은 공모 대상에서 제외된다.

 

모아타운 대상지로 선정되면 해당 자치구는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시의 주민공람·통합심의 등 절차를 거쳐 '모아타운'으로 지정되며, 관리계획수립에 필요한 비용은 2023년 예산 범위 내에서 시·구 매칭으로 지원받게 된다. 시는 2025년까지 대상지를 35개소 이상 추가로 선정할 계획이다.

 

새 장기전세모델 '상생주택' 수시신청 전환올해부터 사업 본격화

 

228일부터 '상생주택'대상지 신청방식이 공모에서 수시신청으로 전환된다. '상생주택'은 공공이 택지를 개발하여 직접 짓거나 재건축·재개발 등 민간 정비사업에서 나오는 단지 일부를 매입하는 방식으로 추진해 온 '공공임대주택'을 민간으로 확장, 민간토지를 임차하고 공공이 주택을 건설하여 시민에게 장기전세주택으로 공급하는 새로운 공공주택 사업이다.

 

시는 지난해 '상생주택' 대상지 첫 공모(3~5) 이후 새로운 장기전세주택 공급방식에 대한 관심과 사업참여 문의가 많아짐에 따라 특정 기간이 아닌 상시 접수할 수 있게끔 전환하여 장기전세주택 공급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상생주택' 사업 대상지 신청방식이 수시신청으로 전환된다.

'상생주택' 사업 대상지 신청방식이 수시신청으로 전환된다.

시는 지난해 마련한 상생주택 운영기준 이외에 민·관 협상 과정에서 공정성과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조례를 개정, 앞으로 상생주택을 보다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공급할 예정이다.

 

지속가능한 상생주택 사업 추진을 위해 용도지역 변경 용적률 공공기여 토지사용 협약 사업종료 및 정산 등과 관련된 조례가 제정되었으며, 앞으로 이에 근거하여 협약이 이뤄진다.

 

올해 대상지 선별 후 사업자와의 협의과정에서 논의된 토지 사용기준 등은 향후 신규사업 추진 시 협의 기준 등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시는 연구용역을 통해 토지 사용료·기간 사업종료 및 청산방법을 비롯하여 장기적인 사업 방향과 발전방안을 마련한다.

 

특히 시는 20년 이상 장기간 사업으로 토지 사용 예측이 어려운 부분에 대해 들여다보고 토지임차료 산정기준 개발이익의 공정 분배 경제 상황 변화를 반영한 임차료 등도 종합 검토할 예정이다.

 

'상생주택' 수시접수 사업 대상지, 규모 및 절차는 지난 공모 시와 동일하며, 올해 사업참여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누리집(고시·공고)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 밖의 사항은 전화(02-2133-6286~9)로 문의하면 된다. 민간토지 활용 공공주택 사업 토지 모집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퍼스트뉴스의 최신글
  서울시 노원구 자율방범 연합대 2023년 송년…
  서울 노원구 초안산 수국동산 조성하며 권역별 …
  서울시 노원새마을회 2023년 사랑의 김장 나…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총동…
  서울신용보증재단, 마들종합사회복지관에 「사랑의…
  노원구 선곡초등학교에 무슨 일이, 학교 주변 …
  노원어린이극장 기획공연 매직 드로잉 가족극 <…
  서울 노원구 여성단체연합회 새마을 김장나누기 …
  2023 시각예술 대학생 창작지원사업 <1인칭…
  노원구 2023년 노원미래교육박람회 개최 가보…
퍼스트신문 회사소개    |    회원가입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기사제보    |    광고안내/신청
  • 퍼스트신문 | 발행인 : 김양호 | 지사장 : 김형수 | 편집인 : 김영렬 | TEL : 070-8716-6885 , 사업자등록번호 : 132-86-01106 ||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덕릉로725 TEL : 02-808-3927 | 010-5791-3927 이메일 morasoo3927@gmail.com,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먹갓로서길29 104호 (070-8716-6885) 신문사업등록번호 : 경기다50146
    Copyright© 2015~2023 퍼스트신문 All right reserved